전면 철거→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식으로 사업 전환
【성남=뉴시스】이정하 기자 = 부침 겪는 경기 성남지역 구도심 재정비사업이 전면 철거 방식 대신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소규모 개발 방식으로 바뀐다.
19일 성남시에 따르면 '2020 성남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포함된 정비예정구역 가운데 정비구역 해제지역이나 해제가 예상되는 지역에 새로운 형태의 정비사업이 도입된다.
대상 지역은 구역 지정이 해제된 태평2·4주거환경정비구역과 수진2 재개발정비구역을 포함해 태평 1·3·수진1·신흥1·3·상대원3 재개발구역 등 '2020년 성남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된 9곳이다.
면적만 총 165만㎡에 이른다.
해당 구역은 정비구역 지정 뒤 주민들의 사업 추진 의지가 낮아 추진위 구성이 되지 않았거나 사업성이 좋지 않아 구역 지정이 해제, 또는 사업 방식 재검토에 들어간 곳이다.
특히 지역 내 조합까지 구성돼 정비사업이 추진 중인 10여 곳도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기업의 사업 불참 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한 만큼 사업 진척이 없는 구역에 대한 출구전략이 불가피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이 구역들에 대한 주거환경정비가 필요하지만 전면철거 방식은 어렵다고 보고 대규모 개발사업 대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커뮤니티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8억6000만원을 들여 이달 중 전문기관에 '주민 중심의 신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용역을 맡겨 성남시 실정에 맞는 구체적인 정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이 용역 결과를 토대로 구역별 정비방안을 재수립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구도심의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지만 현재 여건을 고려했을 때 정상 추진은 어렵다"며 "사업방식 변경이나 축소, 통폐합 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정비사업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무_재개발재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남시, 3단계 재개발사업 ‘민간조합방식’으로 진행 (0) | 2014.04.12 |
---|---|
성남 4단계 은행주공.도환2구역 건축제한 연장 (0) | 2014.04.01 |
성남 1공단·대장동 결합개발 추진, '법조단지는?' (0) | 2014.01.14 |
상가가 재건축되면 세입자는 그냥나가야 하나요?(개정된상가임대차보호법,2013년8월13일) (0) | 2013.11.25 |
성남시-LH, 2단계 재개발 정상추진 합의(2013년10월23일) (0) | 2013.11.02 |